JJ골프 클리닉 (www.jjgolf.org) - 대구 본원 골프 아카데미
JJ Kim's HGA
Houston No.1 KOREAN Golf Academy
Since 1992
문의/상담 : 053-795-7709

미국 정규 학교(School) 과정 안내 - 초·중·고 교육
1) 초등학교(Elementary School)
미국의 초등학교는 엘리멘터리 스쿨(Elementary School) 또는 그래머 스쿨(Grammar School)로 불리고 있다.
교사 한 사람이 1학급을 맡고 있으며, 학급당 20~30명 내외의 학생들을 배치하고 있다. 학교에 따라서 예능과목인 음악이나 미술 과목에는 별도의 교사가 있는 경우도 있다. 공립학교(미국시민권자만 입학가능)는 무료이며 교과서도 학교에서 빌려주거나 무상 지급한다. 학생은 노트나 연필 같은 학용품만 준비하면 된다. 점심은 별도 지참케 하거나 학교에서 실비로 제공하기도 한다. 사립학교는 시험이나 서류전형, 구두시험 등을 통해 입학하는데 수업료나 시설 등은 학교에 따라 차이가 크다.

| 휴스턴 프로스트우드(Frostwood) 초등학교

| 윌체스터(Wilchester) 초등학교

중학교(Junior High School)
미국의 중학교는 보통 주니어 하이 스쿨(Junior High School) 또는 인터미디엇 스쿨(Intermediate School)로 불린다. 그러나 한국의 중학교와는 달리 중1, 중2에 해당하는 7학년과 8학년만 있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지역에 따라 9학년까지 있기도 한데, 이 경우 9학년은 고등학교의 첫째 학년(Freshman)으로 취급되는 것이 상례이다. 중학교에서는 영어, 수학, 사회, 과학 등 주요 학과목 외에 외국어와 희망하는 선택과목을 지도하고 있다. 선택과목으로는 음악, 미술 등이 있는데 예능 분야는 실기를 주로 다루므로 소질과 관심이 없는 학생은
아예 그 계통에 접근을 꺼리게 된다. 그 밖에 각종 공업과 기술, 기능방면의 학과로 목공, 프린트, 기계조립 등을
선택과목으로 택해 이수할 수 있다. 그러나 체육은 필수과목으로 분류하고 있는 학교가 대부분이다.
외국어로는 불어, 독어, 스페인어 중 택일하는 것이 보통이나, 학교에 따라 그리스어나 히브리어 등 고전어학과 나 일어, 중국어 등 동양 언어를 수강할 수 있는 곳도 있다. 중학교부터는 한국의 대학식으로 학생 각자가 강의시간마다 학과교실을 찾아가 수강한다. 다만 홈룸(Homeroom)이라는 것이 있어 학급 편성화되어 있다는 점이 다를 뿐이다. 홈룸교사는 학급에 편성된 학생들의 학력 및 생활지도를 전담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에서는 학교가 전하는 어떤 지침을 학생들에게 알리는 정도의 구실밖에 달리 하는 일이 없다. 학부모들이 찾아와 상담하고자 해도 책임있는 답변을 들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엄격히 말해 담임교사라 하기에는 어딘가 아쉬운 점이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런 점이 한국의 교육제도와 다르다고 생각하면 달리 어쩔 도리가 없다.


| 존스턴(Johnston) 중학교
| 버뱅크(Burbank) 중학교

고등학교(High School)
미국 교육의 꽃은 바로 이 고등학교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초등학교와 중학교 과정의 교육도 나름대로 목적과 성과를 가지고 있지만 결국에는 고등학교에서 완전한 성인에 이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기 위해 나머지 두 개 교육과정이 존재한다고 해도 무리가 아니다.
한국에서는 대학을 나와야만 기본적인 교육이 끝난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미국에서는 고등학교도 성인교육의 무대로 생각한다.
그래서 미국의 고등학교들은 대학진학을 위한 교육 외에도 직업인을 양성하는 각종 커리큘럼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학에 진학할 학생들은 주로 교양과목이나 수학 등에 치중하고 고교졸업 후 오피스직업을 원하는 학생은 회계학, 경영학 등을, 기술계통 직업을 선택할 학생들은 공업을 택하게 된다.
미국의 학교들은 이런 모든 과목을 개설하고 있거나 자체 내에 이런 과목이 없으면 이를 가지고 있는 다른 학교와 연결해 이 과목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런 고등학교 중에서도 특히 대학진학에 역점을 두는 학교들을 대학진학 예비학교(College Preparatory School)라 부르며 사립학교 중에 이런 학교가 많이 있다.

| 캐시미어(Kashmere) 고등학교

| 미식축구 명문 케이티(Katy) 고등학교

JJ Kim's HGA와 연계된 휴스턴의 정규학교 및 홈스테이 소개영상
저희는 휴스턴의 우수한 정규 학교와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습니다. 아래의 동영상을 참조해 주십시오.
- 휴스턴 학교 소개 및 학장(Dean), 주임(Head) 인터뷰
미국 정규 학교(School) 과정 안내 - 대학과정(University & College)
미국에는 입학조건이 매우 다양한 약 3,000여 개의 대학이 있으며, 각 대학은 상당히 다양하고 수준 높은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고 또한 다른 나라에 비해 우리나라와 비슷한 교육 시스템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우리나라 학생들이 유학하기에 최고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성공적인 미국 유학을 위해선 자신이 원하는 학업 목표와 맞는 학교를 선정해야 한다. 미국은 광활한 지리적 특성에 의해 지역별로 비용이나 교육, 생활환경의 차이가 크게 나는 편이므로 학교선정에서는 자신의 실력은 물론이려니와, 본인의 재정상태, 생활환경, 그리고 졸업 후의 진로 등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미국 4년제 학위과정(University)
미국의 대학은 9월에 시작해서 5월에 끝난다. 한국과는 달리 수업이 1학기 기간으로 끝나기 때문에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9, 1월이 입학 시기가 된다. 대학에 따라서는 입학 시기를 제한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잘 확인해야 하며, 미국의 4년제 대학 학사과정을 선택할 때에는 학비와 입학 난이도, 시설, 위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TOEFL 점수와 SAT 등도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
1) 입학자격과 요건
일반적으로 최상위권 대학에서 요구하는 TOEFL 점수는 600점 이상(CBT 250), 상위급대학은 550~600점이며, 최소한 TOEFL 점수 500점 이상이어야만 입학신청을 할 수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상당한 수준의 대학이 TOEFL 성적을 요구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듣기, 쓰기, 말하기 등의 영어훈련을 시킨 후 정규과정에 입학시키는 조건부 입학을 허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토플 외에도 입학지원 시 필요한 것은 미국의 수능시험이라 할 수 있는 SAT 성적과 고등학교 성적, 학생활동, 사회봉사, 선생님의 추천서이며, 본인의 학업계획도 중요하게 평가된다.
2) 원서 마감과 입학 시기
입학지원 시기는 가을 학기 기준으로 하면, 대개 전년도 여름이나 가을부터 본인이 성적이나 전공을 고려하여
지원 가능한 학교를 5~6학교 정도를 선택한다. 대부분의 학교가 마감이 12~2월 사이이기 때문에
그 시기보다 6개월전부터 유학수속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 휴스턴의 대표적 대학, 휴스턴 대학(University of Houston)
| 라이스 대학(Rice University)
미국 2년제 학위과정(College)
미국 전체의 2년제 대학 중, 90%에 해당하는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는 주립 2년제 대학으로,
그 지역주민을 위한 성인교육을 중심으로 하며, 직업교육에 중점을 둔 다목적 교육기관이다.
원래, 지역 학생만을 받아들였지만, 현재는 다른 주 또는 외국인 유학생까지 널리 받아들여 활성화되고 있다.
나머지는 주니어 칼리지(Junior College)라는 사립 2년제 대학으로, 학교 내에 기숙사까지 완비되고 전통 있는
학교들도 많지만, 수업료가 커뮤니티칼리지에 비해 비싸다.
2년제 대학의 가장 큰 특색은 다양하고 광범위한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인데, 전공과목의 다양성과 더불어 목적에 따라 4년제 대학으로 진학할 수 있는 Transfer Program과 전문 직업교육을 위한
Occupational/Vocational Program이 있다. 대학진학을 위한 transfer program은 일반교양 과정과 더불어 각 전문분야의 기초 과목을 이수한다. 전공분야는 4년제 대학에서 배울 수 있는 분야는 거의 갖추어져 있으며,
이 프로그램은 대개 2년 또는 3년간 수료하는 것으로, 졸업 시에는 준 학사학위(Associate degree)가 주어진다.
Occupational program은 실용적인 전문지식이나 기능을 익혀 졸업 후의 취직에 대비하는 코스로, 전공분야나 이수 방법에 따라 준학사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경우와 수료증(Certificate)을 받는 경우가 있다. 수료증 코스는 1년 안에 마칠 수 있는 단기과정도 있으며 패션, 미용, 요리 등 전문적이며, 실용적인 과정이 많다.
1) 입학자격과 요건
2년제 대학의 입학자격과 조건은 4년제 대학에 입학하는 경우와 거의 같지만, 토플이나 고교성적 등이
높지 않더라도 합격 가능성이 높아 4년제 대학보단 쉽게 입학할 수 있다. 고졸 이상의 학력으로 성적이 평균하여 수, 우, 미, 양, 가 5단계 평가에서 '미'이상이고, TOEFL은 500점내외면 무난하게 입학할 수 있다.
2) 원서 마감과 입학 시기
원서 마감일은 일반의 4년제 대학에 비하면 비교적 늦은 편이며, 학기개시 1~2 개월 전에 해도 되는 곳도 있다.
하지만 한국에서 수속하는 경우에는 서류준비나, 발송등에 걸리는 시간이나 비자신청, 항공편 등 준비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늦어도 학기개시 3~4개월 이상 전에 수속하는 것이 무난하다.
학기제도는 대학에 따라서 다르지만, 대체로 어느 대학이나 9월과 1월의 연 2회 입학할 수 있다.
학제가 Quarter 제인 경우 봄, 여름, 가을, 겨울로 입학지원을 받기도 한다.


| 휴스턴 커뮤니티 칼리지(Houston Community College)
미국의 숙식생활비교 - 기숙사 vs 렌트 vs 홈스테이
기숙사(Domitory)
기숙사의 경우는 미국 현지학생들과 함께 생활할 수 있는 기숙사도 있고
같이 미국 어학연수를 하고 있는 외국학생들끼리 생활하는 기숙사도 있음
대부분은 학교 및 수업장과의 거리가 가까운 편이고, 미국연수 온 외국학생
들과 어울려 볼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임. 반면에, 한국보다 미국기숙사의 경우
상당히 자유롭기 때문에 시끄러울 수 있다는 점이 있고, 미국 생활이기보다는
기숙사 안의 그들만의 세상으로, 진정한 미국 현지 문화를 느끼기가 힘들다.


렌트(Rent)
기숙사나 홈스테이를 하던 자녀가 나중에 하는 경우가 많다. 일단 내가 직접
나에게 맞는 집을 구할 수 있고, 나에게 맞는 생활을 할수 있고, 비용을 절감
할 수 있다는 점은 장점. 하지만 한국학생들끼리 어울릴 수 있는 경우가 많고
주변에 관리자가 없다 보니 생활이 불규칙해질 수 있다.
홈스테이(Homestay)
미국 현지인 가정에서 생활하는 방식. 미국 현지문화를 체험할 수 있고 또한
영어에 계속 노출이 된다는 점에서 미국유학을 하는 동안 영어를 활용하기
가장 좋은 숙소 타입이다. 사실 미국유학은 생각만큼 현지인들과 친해지기
쉽지 않다. 그런 점에서는 쉽게 현지인들과 친해질 수 있고 안정적으로 생활에
대한 도움도 받을 수 있다. 물론 미국인 가정과 생활하기 때문에 생활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그러한 미국식 생활 규칙에 잘 적응하는 것이 관건이다.

JJ Kim's HGA의 결론 - 홈스테이
기숙사 방식과 홈스테이 방식 둘 다 장단점이 있지만, 좀 더 현지문화를 느끼고 생활에 도움이 되는 것이
홈스테이(Homestay) 방식이다. 홈스테이를 통해 미국의 문화, 언어를 좀 더 원활하게 습득할 수 있다.
JJ Kim's HGA에서는 휴스턴에 입지하는 한국식과 미국식 홈스테이 방식 모두를 제휴하고 있습니다.
각 홈스테이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방식을 정하고 그에 맞는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홈스테이(Homestay)비교 - 한인가정 vs 미국인가정
홈스테이에서도 한인 가정이 운영하느냐 미국인 가정이 운영하느냐에서도 차이가 있습니다.
각각의 장단점을 잘 파악하시기 바랍니다.


한인 가정 홈스테이
장점
1) 한국에서 살던 문화 그대로 적응 가능
2) 한국에서 먹던 음식 그대로 적응 가능(한국식 식단제공)
3) 학부모와 가디언과 한국 언어를 통한 직접 소통 가능
단점
1) 미국식 문화를 체험하기는 힘듦
2) 지역에 따라 찾기가 힘들 수 있음
미국인 가정 홈스테이
장점
1) 미국 문화를 더욱 원활히 느끼고 체험할 수 있음
2) 영어를 더욱 능숙하게 익힐 수 있음
단점
학생과 가족의 적응이 힘들 수 있음(미국 문화 습득)
JJ Kim's HGA의 결론
골프 과정 및 학업과정에 뒷받침되는 생활 부분인 홈스테이는 자녀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합니다.
미국의 문화와 언어, 여가생활을 습득하기 위해선 미국인 가정에서 홈스테이 하시는 것을 추천해 드립니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생활방식과 미국문화의 적응이 힘들 것 같은 자녀에게는 한인 가정 홈스테이를
배정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혹시, 자녀가 적응 못 하게 되거나 문제가 될 때 ?
JJ Kim's HGA는 자녀의 원활한 현지적응을 위해 10년 이상 경력의 전문 카운셀러를 통해 상담을 진행하고,
원할 시 홈스테이 변경 등 최선의 해결방법으로 자녀가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울 것입니다.
홈스테이(Homestay)시 기본 매너 사항

1. 주방 사용 시 주의 사항
오븐 및 화재의 위험이 있는 기구는 사용할 때 항상 조심하도록 합니다.
또한 요리하고 난 후에 주방을 깨끗하게 치워야 하며, 조리기구는 원래 있던 자리에 다시 두도록 합니다.
2. 화장실/샤워실 사용 시 주의 사항
미국에는 한국 화장실처럼 바닥에 배수구가 없습니다. 따라서 샤워 할 때 샤워커튼을 욕조 안쪽으로 두고,
샤워 부스가 있는 곳은 샤워 부스 문을 꼭 닫고 샤워를 하시고, 물이 바닥에 튀지 않도록 합니다.
샤워는 10분 이내로 끝내는 편이며, 샤워 후 머리카락을 치우는 것도 잊으시면 안 됩니다.
샴푸와 린스, 치약, 비누, 바디용품 등은 각자의 것을 사서 쓰는 것이 일반적이고. 사용하고 난 화장실은
항상 뒷정리를 반드시 해주셔야 합니다.
3. 세탁을 할 때 주의 사항
미국은 세탁기와 건조기를 대부분 함께 사용하고 있으며, 바깥에 옷을 말려서 건조하지 않습니다.
옷 종류에 따라 건조기(세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세탁기를 사용 할 때는 적정한 양이 모였을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세탁기는 1주일에 한 번 사용 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4. 식사하지 않을 시 주의 사항
저녁 식사에 늦거나 밖에서 식사하게 될 경우 꼭 홈스테이에 미리 알려주기. (전화나 메모)
홈스테이 가정에서 음식을 버리는 일이 없도록 배려해 주는 것이 매너입니다.
5. 전화 사용 시 주의 사항
홈스테이 가정에서 전화를 사용할 경우 반드시 사전 허락을 받도록 하고,
국제 전화를 할 때에는 국제 전화카드를 사서 사용합니다.
6. 취침 시간 주의 사항
저녁 늦게 음악을 틀거나, 소란을 피워서는 안 됩니다. 9~10시경엔 가족들이 잠을 잘 시간입니다.
또한, 밤늦은 시간에 밖으로 나갈 때는 최대한 소음을 줄여서 가족들의 숙면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합니다.
7. 수영장 사용 시 주의 사항
수영장이 있는 홈스테이는 수영장을 사용하기 이전에 가족에게 허락을 묻습니다.
수영장을 사용하고 나서는 가족에게 알려주도록 하며, 가족의 안내에 따라 수영장을 정리 할 수 있도록 합니다.
8. 식사에 대해 알아두셔야 할 사항
음식문화에서 오는 스트레스는 아주 큽니다. 향수병 대부분이 이 음식에서 옵니다.
미국의 음식은 매우 '간편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대부분 미국 사람들은 한국 사람들처럼 한 끼 한 끼를 매우 잘 챙겨 먹어야 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지 않습니다.
아침은 시리얼이나 머핀 하나, 우유 한잔이면 그만 이고, 점심은 샌드위치로 때우기도 합니다.
저녁은 가족끼리 먹는데, 만약에 음식이 입맛에 맞지 않거나 못 먹는 음식이 있다면,
가족과 대화를 통해서 해결 해 나갈 수 있도록 합니다. (식사 관련 사항은 하단에 자세히 설명해놓았습니다)
9. 홈스테이 가족의 성격에 대해 알아두셔야 할 사항
홈스테이 가족의 성격은 가지각색 입니다. 조금은 냉정한 사람도, 다정다감 한 사람도,
히스테리컬 한 사람도 있고 얼굴에 웃음이 없는 사람도 있기 마련인데, 어떤 학생들은 호스트 가족들이
'다정다감' 하지 않으면, '나에게 불친절하구나.'하고 대화의 문을 닫아 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의 성격이 모두 다 밝을 수 없고 밝은 사람도 밝게 보이지 않을 수가 있는 것입니다.
가족들에게 말을 걸어보며, 이해하려 해보십시오. 세상에 불친절한 가족은 없습니다.


식단에 대하여 - 한국식 vs 미국식
밥과 채소가 주식인 한국식과는 달리 미국식 식단은 주로 콩(또는 옥수수) / 육류 / 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한국과 같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음식이 발전된 것이 아니라서 우리와 같은 의미의
'전통음식'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미국 음식의 시초는 미국으로 처음 건너와 살기 시작했던 유럽인들이 미국에서 나는 곡물이나 가축에 맞춰 먹기 시작한 유럽의 음식이 합쳐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엄연히 미국 음식이란 것은 존재하며 그들은 자신들이 먹는 음식에 특정 나라 음식이라고 이름을 짓거나 그러지는 않습니다. 어느 나라 음식이든 받아들이고 녹여서 자기들만의 독특한 색깔의 음식으로 변화시킨 것이 바로 미국음식, 즉 미국화된 음식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미국식 식단의 특징
다양한 음식을 즐기는 미국에서 가장 큰 이점은 세계 각국의 음식을 다 맛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본의 스시(sushi)부터 들어본 적도 없는 유럽의 스모개스보드(Smorgasbord)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외국의 음식들이 미국화되어 미국인들의 식단에 올라와 있습니다. 스모개스보드란 북유럽사람들이 즐기는 훈제된 고기를 전채요리로 먹는 것을 말합니다. 미국의 대도시, 그중에서도 뉴욕에서는 세계 각국의 음식을 편견 없이 판매하는 식당들이 있으므로 언제든지 외국 음식을 맛볼 수 있습니다.
미국인이 즐겨먹는 음식
미국인은 주로 감자와 빵, 그리고 고기를 즐겨 먹는다. 다양한 민족이 모여 사는 나라답게 이태리, 그리스, 프랑스, 멕시코, 중국, 일본, 한국 음식 등 다양한 음식을 즐길 수 있다. 미국인의 식생활은 아침 식사로 토스트와 우유, 베이컨과 계란 등을 즐겨 먹고, 점심 식사는 햄버거나 샌드위치 등 간이 식품으로 간단히 해결한다.
저녁 식사는 돼지고기, 쇠고기 스테이크, 닭고기, 칠면조 고기, 생선 등의 육식과 생선으로 아침이나 점심에 비해 푸짐하게 먹는다. 한국의 라면과 같이 간편하게 즐기는 음식에는 스파게티와 피자가 있는데 집에서 요리하거나 전화로 주문하여 먹는다. 미국인의 아침 식사 중의 하나인 시리얼은 원래 의사 켈로그가 소화 잘되는 환자용 음식으로 고안한 것이다. 처음에는 몇 분 정도 가열해서 먹는 따끈따끈한 시리얼이었으나 후에 있는 그대로 먹을 수 있는 콘플레이크와 같은 차가운 시리얼이 개발되었다.
JJ.Kim 의 식단 제안
부모와의 상담을 통해 미국식 홈스테이와 한국식 홈스테이를 정하고 그에 맞는 건강식을 제공하겠습니다.
1. 자녀가 어린경우(중학교 이하)
미국식 홈스테이에서 미국식 식단을 따라 가는 것이 그 나라의 문화를 적응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2. 자녀가 고등학생 이상인 경우
지금까지 한국식에 익숙하였기 때문에 쉽게 낯선 문화에 적응하기는 힘이 듭니다.
한국식 홈스테이에서 한국식 식단과 미국식 식단의 조화를 통하여 현지에 점진적으로 적응 하도록 돕습니다
3. 대학생 이상의 경우
한국식 / 미국식 어느 것이든 관계없으며 자유 의사에 따른 식단 편성을 할 수 있습니다.




| 미국인의 3대 주식 - 콩(또는 옥수수), 밀, 육류
| 미국의 대표적 먹거리 - 빵과 버터 / 고기
미국의 안전, 치안, 가디언(Guardian)제도
미국은 한국과 달리 치안이 중요합니다. 저희는 상시 가디언(Guardian)제도를 운영하여 자녀들이 안전한 미국생활을 돕고 부모와 상시 연락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JJ Kim's HGA의 가디언 소개

| 현지 홈스테이 가디언(김경숙씨)

| 가디언 총괄팀장 - Decker
교통(Transpotation), 이동사항
휴스턴은 대중교통을 통하는것이 불편하여 차량을 통한 이동을 주로 하여야 합니다. 저희는 공용 차량(버스, 봉고)을 운용하고있어, 아이들이 필요할때 활용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공용 차량 구비(9인승 밴)

여가생활(휴스턴 주요시설)
NASA 스페이스 센터(린드 B 존슨 스페이스 센터)
1)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9개 우주 개발 기지 중 하나
2) 우주 과학 박물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 마련
3) 평균 관람시간, 4~6시간 정도 소요
4) [평일] 9시 ~ 17시 / [토,일] 10시 ~ 19시
MFA 휴스턴 미술관 (Museuum of Fine Arts, Houston)
1) 미국 내에서 5번째로 규모가 큰 미술관
2) 석기시대부터 현재까지 이르는 방대한 전시품, 6만점 소장
3) 30만 피트의 면적을 가득 채운 미술품들은 유럽, 아시아, 남북아메리카,
아프리카 문화 예술품 등 다양
4) [화,수] 10시 ~ 17시 / [목] 10시 ~ 21시 / [금,토] 10시 ~ 19시
[일] 12시 15분 ~ 19시
5) 월요일 휴무 / 목요일 무료입장(종일)
휴스턴 자연사 미술관 (Houston Museum of Natural Science)
1) 우주과학, 자연사, 지질학에 중점을 둔 박물관
2) 공룡, 텍사스의 야생동물, 석유 개발 산업, 광물학, 화석학, 고대 인디언 생활상,
중남미 마야 생활상
3) 4백석 대형 3D 아이맥스 영화관과 버크 베이커 플라타네리움
4) 코크렐 나비 센터
5) [월~일] 9시 ~ 17시 / 목요일 무료입장 14시 ~ 17시
허먼공원 (hermann park)
1) 1914년 Hermann이라는 사람이 시에 공원부지 땅을 기증하여 붙여진 이름
2) 180hr (544,500평)
3) 휴스턴 사람들이 가장 즐겨찾는 도심 속 공원
밀러 아웃도어 시어터 (miller outdoor theatre)
1) 허만파크 내 위치
2) 클래식음악, 대중음악, 뮤지컬, 영화 등 상영을 무료로 제공
3) 좌석예매는 아침 10시부터 매표소에서 무료배포
휴스턴 AMC Studio 30
- 30개의 상영관이 있는 큰 규모의 멀티 플렉스 영화관
해변가 산책 및 수상스포츠(Water sports)
남부 해안과 가까운 휴스턴은 해변가 공원 산책 및 수상스키, 제트스키, 보트, 카약등 수상스포츠를 즐길수 있는 거리가 가득하다.








